아이들의 소중한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2023년 02월 24일 게임교육
2023년 02월 24일 금요일 게임교육
이번 시간부터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zep의 기본 기능을 끝낸 후 자바스크립트로 넘어가기로 계획하고 이번 시간에 zep의 기본 기능에 관한 첫 시간을 가졌다, 사전에 학교에서 제공받은 노트북을 가져오라고 공지를 했는데, 두 아이는 가져왔고, 나머지 세 명은 예상대로 안 가져왔다. 어차피 이번 시간에 하는 내용은 중요도도 크지 않고, 난이도 또한 그냥 이런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고, 필요할 때 본인이 찾아 쓰면 됨으로, 안 가져온 세 명은 설명만 듣기로 하고 시작을 했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제공받은 노트북에서 기본브라우저로 설정되어있는 웨일을 사용하려는 모습이 보였는데, 우리는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를 사용하기로 했다. 그 이유는 우선 인기 있는 메이저 브라우저에서 기능들이 원활하게 지원되는데, 주로 크로미움 엔진을 사용한 메이저 웹 브라우저가 좋은 모습을 보이며, 그 중에서도 엣지의 경우 크롬과는 다르게 불안정한 기능까지도 지원을 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크롬의 경우 아직 불안정한 기능은 자체적으로 작동이 안 되는 모습을 보여, 경우의 수를 모두 보여주는데 무리가 있었고, 아이들은 이왕 기능을 알아보는 김에 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알아보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를 사용했다. 그렇게 브라우저 세팅을 하고, 우선 접속에 관한 부분부터 했는데, 노트북을 준비해온 두 아이는 사전에 공지한대로 각자 사용할 이메일을 잘 준비해와서 수월하게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로그인을 하고 접속을 한 뒤 zep 로그인의 세 가지 특징을 알아보았는데, 우선 URL을 이용해서 초대할 수 있고, 이 경우 URL을 이용하면 로그인 없이 접속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게더타운의 경우 한 아이디로 중복 접속을 하면 먼저 접속한 유저는 강제 종료가 되는데, zep은 한 아이디로 중복 접속이 가능하다는 것, 마지막으로 로그인을 한 사용자에 한해서 7자리 접속코드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의 방에 접속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그런 뒤 스페이스를 만드는 방법에 관하여 빈 맵 만들기, zep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맵으로 만들기, 맵을 구매해서 만들기로 나누어 알아보았고, 그런 뒤에는 이동에 관해서 알아보았는데, 아이들은 방향키와 WASD는 알고 있었는데, 롤에서처럼 마우스를 이용하여 이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모르고 있었고, 또한 다른 유저 따라가기 기능이 있다는 것도 모르고 있어서 이 부분에 관해서 알게 되었다. 그렇게 이동에 관한 부분을 알아본 뒤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사용에 관한 부분을 알아보았는데, 그중에서도 웹 브라우저에서 카메라와 마이크 권한을 관리하는 부분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알아보았다. 우선 가장 먼저 강조한 것이 이러한 권한은 각 사이트별로 관리가 됨을 웹 브라우저의 권한 관리 페이지에 있는 URL을 보며 알게되었고, 그런 뒤 zep에서 마이크와 비디오 사용 버튼을 누른 뒤 뜨는 알림을 통해서 권한을 허용하는 방법, 그리고 그와 관계없이 zep 사이트 URL을 등록하고 그 사이트의 권한 관리 페이지에서 마이크와 카메라를 일괄 허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그런 뒤 이렇게 한 번 허용을 하면 이 권한은 지속이 됨을 알게 되었고, 그러나 해당 사이트에 관한 권한 초기화나 웹 브라우저 데이터 지우기에서 쿠키 및 사이트 권한에 관한 부분을 지워버리면 권한 설정도 초기화 됨을 알아보았다. 그렇게 권한에 관한 부분을 알아본 뒤, 아바타를 꾸미는 방법을 일반 꾸미기, 랜덤 꾸미기, 다른 유저 따라 꾸미기로 나누어 알아보았고, 그런 뒤에는 화면 공유에 관하여 알아보았는데, 우선 화면 공유에 전체 화면 공유, 현재 운영체제에서 동작중인 창 고정 공유, 현재 zep을 실행중인 브라우저의 탭 중 하나를 고정해서 공유하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아보았고, 그러한 것들에 관해 공유되는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알아보았는데, 그러한 것을 알아보는 중에 현재 운영체제 위에서 동작중인 창을 고정해서 공유하는 방법에 관해서 창이 최소화되어 비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공유 가능한 목록에 뜨지 않는 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이를 알기 위해 활성화와 비활성화라는 용어를 정하여 각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 구분하고 정의하는 작업을 했다. 그렇게 화면 공유를 알아본 뒤, 화면/시스템 오디오 공유에 관한 부분을 바로 알아보았는데, 이는 화면공유와 똑같은데 시스템 오디오가 추가됨을 알게되었고, 추가로 현재 운영체제 위에서 동작중인 창을 고정하여 공유하는 것의 경우 시스템 오디오 공유가 안 되며, 시스템 오디오는 사용자의 마이크와는 독립적인 부분이며 마이크는 마이크 기능으로 조정을 해야함도 알게 되었고, 또 이 시스템 오디오 공유의 범위가 각 화면 공유의 범위와 똑같음을 알게 되었는데,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이 범위가 똑같은 것이지 공유중인 화면을 따라가는 것은 아님을 강조했다. 즉 공유중인 화면을 최소화 시켜도, 소리가 공유 범위에 해당되면 다른 사람의 스피커에도 똑같이 공유됨을 알게된 것이다. 그렇게 화면공유에 관한 부분까지 알아본 뒤 이번 시간을 최종적으로 마쳤다.
사단법인 함께꿈을그리다 목양비젼지역아동센터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산복로 201 2층 [지도보기] Tel : 055-343-0391 Fax : 055-343-0392 E-mail : san0191@naver.com